제품소개 및 화학자료,논문/레진,수지

초기 알키드 페인트 출시 당시 우려되었던 점, 그리고 개선된 점 - (주) 삼양화인

(주)삼양화인 2023. 4. 17. 09:36

초기 알키드 페인트에는 두 가지 주된 우려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 우려는 주요 환경 문제로 제품을 사용하는데 사용되는 유기 용매에 관련된 것이었습니다.

미네랄 스피릿(mineral spirits)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석유 증류 제품(petroleum distillates)등 알키드 코팅 제품에는 수많은 용제가 사용됩니다.

알키드 수지 생산과 최종 사용 건조 공정에서 이러한 용제의 증발로 인한 환경 문제가 크게 대두되었습니다.

페인트 업계가 1940년대부터 코팅 제품과 관련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을 줄이기 위해서 노력하는 동안

미연방 환경보호국(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및 수많은 주 환경 기관 모두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페인트의 생산 및 도포 및 건조 공정에서 규제하기 시작했습니다.

국가위험대기오염물질 배출기준(the National Emission Standards for Hazardous Air Pollutants)은 페인트의 제조 및 사용과 관련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배출량에 대하여 엄격한 규제를 제정하였습니다.

업계에서는 기존 제형에 성능이 뛰어난 친환경 저 휘발성 유기 화합물 알키드 코팅 제품 생산을 목표하며 혁신적인 제형으로 이 같은 규제에 대응하였습니다.

 

좌) 벗겨진 페인트 우) 납(lead)

두 번째 우려는 유화 페인트의 색소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알키트 코팅 초기 버전 제품은 납(lead) 기반 색소와 첨가제를 사용하였습니다.

백연(PbCO3)2Pb(OH)2은 불투명도가 높은 이상적인 마스킹 색소였습니다.

또한, 납은 접착성 및 내수성, 날씨 적응성 등과 같은 기타 성능을 개선하였습니다.

불행히도 풍화 및 조각난 표면에 의해 벗겨진 페인트 조각 흡입으로 인해서 페인트 산업 종사자나 전문 화가 그리고

심지어 어린이에게도 이러한 납의 독성 효과는 상당한 건강상의 위험을 주었습니다.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the U.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는 1978년 2월 27일부터 납이 함유된 페인트 제조를 금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금지 이전에 생산 및 적용된 페인트에는 납이 함유된 페인트와 관련한 건강상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였습니다. 1978년 2월 이후에 생산된 모든 페인트는 다른 색소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색소는 주로 훨씬 안전한 이산화티타늄(Titamium Dioxide, 지당)을 함유하였습니다.

 

(주)삼양화인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지당(이산화티타늄), 친환경 가소제와 MOCA free type (모카 프리 타입) 친환경용제 및 여러가지 식물성 오일, 안료와 증량제, 첨가제, 수지합성원료들등, 거의 모든 종류의 화공약품들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의 니즈에 맞춘 신제품개발에도 힘쓰고있습니다.

기타 문의사항이나 발주문의는 아래의 공식 웹사이트를 참고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전화 : (032) 837-5300

☞팩스 : (032) 837-5301

☞문의 메일 : sales@syfine.co.kr

☞웹사이트 : http://www.syfine.co.kr

삼양화인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최선을 다하는 삼양화인 되겠습니다.

※본 자료는 교육용과 자료전달 목적으로 자사의 소중한 인력이 투입되어 외국 공식 단체들의 자료를 번역, 수집하여 작성 된 자산이니 삼양화인 블로그 외의 공유 시 출처 명시 부탁드립니다.※

 

※ 본 자료는 아래와 같은 출처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citation : Tator, Kenneth B. “An Overview of Alkyd Resins.” Corrosionpedia, February 13, 2020. https://www.corrosionpedia.com/2/4586/substances/organic-compound/an-overview-of-alkyd-resins.

 

반응형